아이패드나 아이폰에 오인페 연결하는 방법, 라이트닝 구형은?
-
- 첨부파일 : 01.png (889.2K) - 다운로드
본문
요즘 아이패드에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오인페)나 USB 마이크를 연결하시려는 분이 많습니다. 애플에서 제공하는 무료 앱인 개러지밴드와 아이패드용 로직프로2 등으로 손쉽게 음악을 할 수 있기 때문이죠.
< 오디오 인터페이스만 있다면 아이패드를 멀티 이펙터로 사용할 수도 있다 >
특히 이번에 나온 아이패드2 로직으로는 `스템 스플리터` 기능으로 이미 있는 음악에서 손쉽게 보컬을 리무브(Remove)할 수 있어 손쉽게 노래 커버를 할 수 있습니다. (주의 : 아이패드 프로 6세대, 아이패드 에어 5세대 등 M1 칩 이상에서만 동작)
USBC 아이패드에서는 바로 오디오 인터페이스 또는 USB 마이크 연결
아이패드 10세대, 프로 2세대, 에어 4세대, 미니 6세대 등 USBC로 된 제품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USB 콘덴서 마이크를 바로 인식하므로 케이블만 맞추어서 연결하시면 됩니다. (예 : USB C to C, B to C 등)
케이블은 그냥 [고속 충전 케이블] 정도 연결해 주시면 됩니다.
다만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경우 아이패드 -> USB 유전원 허브 ->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시면 더 좋습니다. 제품에 따라서 아이패드 충전도 되고 편합니다.
< USB 유전원 허브 >
쉽네요? 그렇죠?
주의 :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한 경우 소리는 반드시,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들어야 합니다.
가끔 소리는 아이패드에 내장된 스피커로 들을 수 없냐고 하시는데 맥 OS에서는 가능하지만 iOS에서는 불가능합니다.(2024년 6월 현재)
모든 기기에서 USBC 탑재에 힘써주신 EU(유럽연합)에 감사드립니다. 애플의 그릇된 야욕을 저지
하지만 라이트닝 단자를 사용하는 아이패드는 아니다.
하지만 구형 아이패드 라이트닝 단자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애플 카메라어댑터3와 라이트닝 충전기를 연결해 주셔야 합니다. 또는 카메라 어댑터1과 USB 유전원 허브가 필요합니다.
<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라이트닝 단자 >
라이트닝 단자는 애플에서 락을 걸어서, 단순 USB C to 라이트닝 케이블로는 안되고 안에 칩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렇게 알리나 테무에서 파는 단순 라이트닝 USB 케이블로는 데이터 전송을 할 수가 없고 충전만 가능합니다.
< 전용 MFi 칩셋이 있어야 데이터 전송 가능 >
그런 제품이 있습니다. 바로 애플에서 판매하는 카메라어댑터와 카메라어댑터3입니다. 가격은 칩을 넣었기 때문에 비쌉니다.
< 카메라 어댑터 3(좌), 카메라 어댑터 1 (우) >
< 라이트닝 단자 아이패드 + 카메라 어댑터 3 + 라이트닝 충전기 + 오디오 인터페이스 >
따라서 정품 카메라 어댑터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아니 무슨 도둑도 아니고 무슨 젠더 케이블 하나에 5만 9천 원이나 합니까?
애플이 자동차를 만들면 와이퍼 하나에 50만 원일 수 있는데, 차를 안 만든다니 얼마나 다행입니까?
알리, 테무에서 판매하는 MFi 제품은 될 수도 안 될 수도 있습니다.
호환용은 반드시 최신 iOS에 호환되는지 살펴보고 구입하셔야 합니다. 우회로가 있어서 호환 제품이 몇천 원에 판매 되기도 하는데 케이블 파는 게 주업인 애플에서 iOS를 업데이트하면서 발견되는 즉시 차단합니다. ㅠ.ㅠ (저도 알리에서 산 호환용 카메라 어댑터가 iOS 업데이트 되면서 동작이 안되어 그냥 아이패드를 업그레이드했습니다.)
나는 애플에게 돈을 갈취 당할 수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분.
알리에서 MFi 인증이 되었다는 제품을 사용하면 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애플이 이렇게 라이트 변환 젠더를 비싸게 받는 이유는 명목상으로는 보안이나 안정성을 때문이라고 합니다. 흥~실제로는 값비싼 젠더를 팔려고 하는 것 다 알아...
라이트닝 단자를 USBC로 바꾸는 카메라어댑터를 사용하더라도, 출력 전류가 낮아서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USB 콘덴서 마이크를 구동하기에는 너무 낮은 전압입니다. 아예 동작조차 안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드시 카메라어댑터3에 라이트닝 또는 카메라 어댑터1 등에 USB 유전원 허브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일부 콘덴서 마이크는 카메라어댑터1의 낮은 버스 파워로도 잘 되는 제품도 있습니다.)
< 카메라 어댑터1 + 유전원 허브 + 오디오 인터페이스 >
MFi (애플 인증)이 된 USB 마이크도 있는데(RODE NT-USB+ 등) 이 경우는 카메라 어댑터까지는 사용 안 해도 되지만, 제조사에서 별도로 공급하는 케이블을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 RODE SC-15, NT-USB+에 연결해서 별도 전원 없이 아이폰과 아이패드 라이트닝 단자에 제품을 인식시켜 사용 가능 >
지식인에 오인페/USB 마이크 등 라이트닝 to C 변환 젠더 같은 것을 다이소에서 구매하셔서 연결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절대 안됩니다.
< 이런 젠더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USB 마이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절대로.. >
값비싼 젠더를 사느니 차라리 아이패드나 아이폰을 업그레이드하세요.
카메라 어댑터가 비싸며, 앞으로 라이트닝 단자는 사용하지 않게 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아이패드를 USBC 단자를 사용하는 신형으로 교체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로직프로2 for 아이패드 같은 최신 프로그램이 애플 실리콘 M1 등에서만 새로운 기능이나 AI 기능이 동작하므로 M1 프로세서 이상을 사용하는 에어 5세대, 프로 5세대 등을 보다 추천드립니다.
Logic Pro 2 for iPAD의 스템 스플리터 기능이나 크로마그로우 기능은 아이패드 중에서도 애플 실리콘(M1 이상)에서만 동작합니다.
이렇게 뜯기나 저렇게 뜯기나...
네... ㅠㅠ 난, 애플에 아낌없이 주는 나무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