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향성 마이크라는게 대체 뭐지? (무지향성이라고 하지 말고 전지향성이라고 해야) > 소식

본문 바로가기

소식

with Soundcat

MAKE & PLAY

지향성 마이크라는게 대체 뭐지? (무지향성이라고 하지 말고 전지향성이라고 해야)

사운드캣영업본부
2024-05-30 14:37 2,323 0
  • - 첨부파일 : 06.png (1.3M) - 다운로드

본문

가끔 받았던 질문 중에 "지향성 마이크를 추천해 주세요"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뭐지? 지향성이 없는 마이크도 있나?" 그랬는데 자주 질문이 되다 보니 이거 뭔가 문제가 심각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 건 얼마 전입니다.

지향성은 소리를 받아들이는 방향을 이야기합니다.   그 방향이 한 방향이면 단일 지향성(보통 노래방에서 사용하는 마이크죠), 한방형이면서 좁으면 초지향성, 양쪽 방향이면 쌍지향성, 모든 방향이면 전지향성입니다.

먼저 알아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초지향성 마이크도 단일 지향성]

가끔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추천해달라는 분들께, 사용하는 목적에서 특성이 좀 더 나은 초지향성 마이크를 추천해 드리면, 자기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를 추천해달라고 했는데, 왜 초지향성 마이크를 추천해 주냐는 분들이 있습니다.

일단 영어로 봅시다. 단일 지향성은 

Cardoid (카디오디드)입니다.  

그러면 초지향성은

Super Cardiod입니다.  즉, 둘 다 단일 지향성인데, 초지향성이 더 슈퍼한 것입니다.

만약 제가 이걸 슈퍼 단일지향성 마이크입니다.  라고 했다면 "오오... 좋군요~" 했을지 모르는 일입니다.  


다이내믹 마이크를 보면, 마이크를 잡고 노래를 했을 경우 내 입 주변을 중심으로 각도가 더 좁고, 주변에 잡소리는 더 안 들어간다는 이야기입니다.   당연히 특성이 좋고 가격이 비쌉니다.  많이 사용하는 SM58이 Cardioid, BETA58이 Super Cardiod입니다.  sE 일렉트로닉스사의 제품은 V3가 Cardiod, V7이 Super Cardiod입니다.

좀 더 알아보면 극초지향성이라고 하는 Hyper Cardioid도 있는데 이것도 `하이퍼 단일 지향성`이라고 하면 좀 더 용어에 일관성이 있죠. 

그런데 사실 여기까지는 괜찮습니다.

[문제는 무지향성이라는 단어에 있었다]

영어로 먼저 볼게요. Omni Direction(옴니 다이렉션)입니다.  


영어로 Omni라는 뜻은 모든이라는 뜻입니다.  

근데 이걸 일본에서 번역하면서...

무지향성(無指向性)으로 번역을 해버린 것입니다.   실제로 일본에서 잘못 번역해서 사용하는 단어가 아주 많고 이게 일제강점기를 거치기도 했고, 주로 일본에서 기술 도입을 했던 한국에서 그대로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게 있습니다.  발음도 문제고요.  저도 학창 시절에 노가다 하면서 공구리 많이 쳤습니다. 힘들게 살았습니다.  노가다, 공구리 다 일본어임. 심지어 공구리 = 콘크리트라는 것을 알고 많이 당황했던 기억이 있네요.  

실제로 SHURE 사의 공식 일본 사이트에 가보면 Omni Direction을 무지향성으로 소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이크를 아는 사람은 `무지향성`이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모든 방향이구나" 이렇게 생각하지만, 마이크를 전혀 모르는 사람은 "지향성이라는 게  없는"으로 해석할 소지가 다분합니다.

만약 뭐가 없다고 하면 대부분은 부정적인 단어로 사용되니 무지향성 마이크는 무지성으로 지향성도 없고 나쁜 마이크, 지향성은 한방향으로 옳게 받아들이는 마이크로 인식이 됩니다.

그래서 PC 주변기기 회사에서 마이크 광고를 보면...

주변 잡음을 받아내지 않는 우수한 방식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 특성

이 얼마나 웃긴 소리인가?

이라고 광고를 하는 웃지 못할 이야기가 있는데 이렇게 된 것은 그분들 탓이 아닙니다.  컴퓨터 주변기기는 상당히 많습니다.  당장만 봐도 CPU, RAM, 메인보드, 공유기, 스피커, 모니터, USB 메모리, 외장 하드, SSD... 그나마 지금은 부품이 통합되었지만... 가짓수가 엄청 많습니다.  

그래서 이분들이 모든 제품의 상세 페이지를 다 제작하지 못합니다.  그런 상세페이지만 전문으로 제작해 주는 업체들이 많고, 그분들은 전문가들입니다.  제품만 그냥 넘겨주면 요즘은 해외 제조사 사이트까지 가서 싹 번역해서 제품 페이지를 만들어줍니다.  사운드캣도 초창기 몇 명으로 출발할 때는 그런 업체를 이용했습니다.

하지만 그분들은 컴퓨터 부품 등은 잘 알지 몰라도 마이크는 잘 모르기 때문에, 무지향성이라는 단어도 있고, 단일지향성도 있고 하니 그렇게 상세페이지를 제작했고, 쭉 그 관행이 이어져..

단일 지향성은 좋고, 무지향성은 나쁘다.

헉~ 이렇게 잘못 이해가 되는 것이죠.

라는 인식이 된 것이죠. 사실 아는 분은 아시겠지만, 용도가 다르기도 하지만, 가격으로 보면 대체적으로 무지향성 마이크가 더 비싸기 때문에 아주 황당한 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일본에서도 찾아보니.. 일본에서도 그런 일이 있었는지 이게 잘못된 용어라고 인지를 하는 것 같더라구요.


일본의 음향 대기업 중 하나인 오디오테크니카는 전지향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괄호 열고 (무지향성)이라고 했습니다.  아마도 무지향성이라는 말이 오해를 불러일으키니까, 바꾼 것 같습니다.

[무지향성은 방향성이 없다는 게 아니라 전지향성 즉, 모든 방향임]

그렇습니다.  무지향성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지만 적절한 용어가 아니므로 앞으로는 전지향성이라고 해야 맞을 것 같습니다. 이해하기도 이게 더 쉽습니다.   그러면 전지향성 마이크가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 전지향성이 필요한 라발리에 마이크 >

흔히 핀 마이크라고 하는 라발리에 마이크입니다.  보통 옷깃에 착용하고 사용하는데요.    인터뷰를 하는 인터뷰 마이크도 전지향성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마이크를 바라보다가 다른 설명을 하면서, 고개를 돌리거나, 라발리에 마이크를 사용할 때 다른 어딘가를 바라보거나 할 때 타깃이 벗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면 소리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기 때문에, 마이크 방향이 전체일 필요가 있습니다. 


[단일지향성이라고 노이즈에 '그렇게' 유리하지 않습니다.]

일단 다이내믹 마이크는 그 특성상 단일 지향성 마이크입니다.  마이크 다이어프램도 1개이고, 파동을 이용하여, 이 다이어프램이 움직여야지만 전류를 만들어내는 시스템입니다.

< 다이내믹 마이크의 동작 구조 >

노래방아 가서 보면 보통 마이크는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데 그 BGM 소리가 마이크로 들어가지 않는 것은 단지 그 마이크가 바로 마이크 앞에서만 수음을 하는 `다이내믹 마이크`이기 때문이지... 그게 단일 지향성이라서 그런 것은 아닙니다.

보컬용 콘덴서 마이크의 경우는 보통 감도가 다이내믹 마이크에 비해서 10배는 좋은데, 그냥 쉽게 말해서 내 귀에 들리는 소리는 마이크로 다 들어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콘덴서 마이크에서 단일 지향성은 다이어프램이 앞쪽에 한 장만 붙어 있으면 단일 지향성이고... 


< sE 일렉트로닉스사의 콘덴서 마이크 다이어프램 구조 >

뒤에도 붙어 있으면, 쌍지향성과 전지향성을 지원하는 마이크입니다. 이렇게 다이어프램이 양쪽에 있어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를 여러 가지 지향성 즉, 패턴을 지원한다고 해서 '멀티 패턴'마이크라고 합니다.  하지만 콘덴서 마이크의 특성상 단일 지향성으로 녹음해도 내 귀에 들어오는 소리는 다 녹음됩니다.  

단일지향성이나 무지향성이냐는 방향만 이야기할 뿐, 주변에 노이즈가 있다면 콘덴서 마이크는 그 소리를 당연히 수음합니다. 

따라서 지향성 패턴과 노이즈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앞으로 저도 무지향성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겠습니다.]

혹시나 해서 검색을 해보니.. 


그래도 네이버는 누군가 문제점을 깨달았는지 사전에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을 했네요.

아저씨~ 지향성 마이크 주세요~

라고 하는 건, 전혀 맞지 않는 말입니다. 굳이 필요하면 단일 지향성 마이크 주세요.  이렇게 말하는 게 맞는 것이죠.

본 블로그에도 무지향성이라는 말이 많고 사운드캣 제품 소개에도 많은데 앞으로는 수정하겠습니다.  그렇게 해석될 수 있는지 몰랐습니다.


그래야 이런 질문도 올라오지 않겠죠.


자 결론...

지향성이 없는 마이크는 없다.

무지향성은 지향성이 없는 게 아니고 전지향성이다.

게다가 노이즈랑도 관련이 크게 없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